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르노 삼성 xm3

by 유익한 내용 2023. 10. 19.

르노코리아자동차의 소형 쿠페형 SUV 차량이자, 르노 아르카나의 컨셉트 디자인과 르노-닛산-미쓰비시 열라이언스의

CMF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한 차량이다.

또한 이 차량은 르노삼성자동차의 이름으로  출시되는 마지막 차량이기도 하며, 2022년 3월 사명 변경 전에 출시된

사양에 대한 내용들은 과거 사명인 "르노삼성"으로 표기가 이루어졌으니 참고할 것.

설명

러시아 등 CIS 지역에서 판매하는 르노 아르카나와 기본 컨셉을 공요하는 르노삼성 버전의 차량이다. 그러나 아르카나와

다른 플랫폼을 쓰며, 이후 출시된 유렵형 아르카나 역시 인스파이어 컨셉의 플랫폼을 썼다. 르노-르노삼성과의 글로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KINTEX에서 2019년 3월29일부터 열린 제12회 서울모터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아르카나와는 다른 플랫폼을 적용한 차량이며, 디자인 면에서도 전면 그릴 등의 형태와

인테리어가 상이하다. 

2019년 12월부터 소수의 최종 테스트 차량 생산을 시작해, 2020년 2월21일 실차가 공개되고 사전예약이 시작되었다.

차급은 캡처와 같은 소형 SUV로 판매하며 르노 본사에서 르노삼성자동차의 부산 공장에서 생산이 이루어질 것임을

확정지었다.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아르카나보다 고급스러운 방향으로 제작될 예정이고, 특히 실내 품질에 있어서는 한국

시장의 품질 요구 수준이 높기 때문에 아르카나보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테리어를 보면 르노 아르카나의 그것과 눈에 띄는 차이가 있는데, 아르카나의 데시보드 레이아웃과 비교하면 XM3은

보다 인퍼페이스 스크린이 강조되며 하단에 엠비언트 라이팅을 추가한 뒤 메탈릭 느낌의 유광 마감을 폭넓게 둘러 상대적

으로 고급화된 대시보드 레이아웃을 채택했다. 

 

파워트레인

공개된 파워트레인은 1.3TCe (가솔린 엔진, 최대출력 152마력, 최대토크 26.kg.m 습식 DCT 7단 미션 장착)와 1.6GTe

(자연흡기 가솔린 123마력 15.8토크, CVT미션이며, 참고로 이 엔진은 르노가 아닌 닛산제 엔진이다.

1.3리터 TCe 엔진은 닛산 GT-R에 탑재된 VR38DETT 엔진에 사용되는 실린더 코딩 기술인 미러 보어 코팅을 포함한 

최신 기술이 접목되어 있으서 작은 배기음이 난다.

르노삼성 측에 의하면 디젤 모델 출시는 없다고 못 박았으며, 2022년 10월에는 이 모델을 통해서 르노코리아 최초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며, 추후 LPG 모델도 추가로 출시하여 엔진 라인업을 3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제원

전장 4,570mm, 전폭 1,820mm, 전고 1,570mm, 축거 2,720mm로 전장 4,410~4,425mm, 전폭 1,810mm, 전고 1,635~

1,660mm, 축거 2,640mm인 트레블레이저 또는 전장 4,375mm, 전폭 1,800mm, 전고, 1,600mm, 축거 2,630mm인 

셀토스보다 크고, 스토닉이나 베뉴랑은 비교가 불가능하다. 심지어 휠베이스는 QM6보다도 15mm가 크며, 2열 공간은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사실상 QM6의 팀킬을 각오하고 내놓은 차라고 볼 수밖에 없다. 반면, 가격은 트레이블레이저와

셀토스에 준하는 가격이다.

2022년 3월6일, 2023년형으로 연식변경을 하여 기본형 LE 트림부터 윈드실드 차음 글래스를 적용했으며 인카페이먼트

기능에 안전지원 콜 서비스 기능을 더했다. RE signature를 기반으로 B필러 하이그로시, 가죽시트 레드 스티치, 블랙 투톤

루프 등을 적용한 TCe260 전용 최상위 트림인 인스파이어 트림이 추가되었다. 해당 차량이 출시된 지 10일 후 르노삼성

에서 회사 사명을 르노코리아자동차로 변경하였다.

 

기타

하이브리드의 수출 비중이 60%에 달할 정도로 높다. 2021년7월 판매량이 4,863대, 8월이 3,544대, 9월 수출 판매량은

무려 9,118대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해외에서 대박을 치고 수출 국가를 확대하는 동안 자동착 선박 부족, 해상운임 상승 문제로 수출이 일시적

으로 어려워지자, 보통2대 들어가는 컨테이너에다 3대를 비슷듬하게 각도를 세운 다음 수출하면서 10% 가량의 비용절감

방법을 고안해내기도 하였다.